NSF, 식품 산업 자재에 대한 획기적인 MOAH-Free 인증 출시

비식품 화합물 및 식품 장비 재료 전반에 걸쳐 중요한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한 새로운 업계 표준을 설정하는 NSF 538 MOAH-Free 인증

2025-09-05 09:00 출처: NSF

NSF, 식품 산업 자재에 대한 획기적인 MOAH-Free 인증 출시

서울--(뉴스와이어)--독립 글로벌 서비스 기관인 NSF식품 제조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비식품 화합물 및 식품 장비 재료에 대한 MOAH-Free 인증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5일 발표했다.

새 인증은 식품의 미네랄 오일 방향족 탄화수소(MOAH) 오염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식품 가공 환경에서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엄격한 표준을 수립한다.

원유와 석유에서 추출되는 MOAH 화합물은 방향족 고리가 3개 이상 포함된 경우 잠재적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기계 윤활제, 이형제, 가공 보조제, 실란트, 접착제, O-링, 개스킷, 밸브, 튜브 및 코팅과 같은 식품 접촉 재료로부터의 이동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식품을 오염시킬 수 있다.

사무엘 콜 NSF 식품 접촉 평가 글로벌 디렉터는 “MOAH-Free 인증의 도입은 식품 생산 체인에서 MOAH를 줄이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윤활유, 가공 보조제 또는 장비 부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 제품 안전성을 검증하고 전달할 수 있는 명확한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최고의 안전 표준을 요구하는 산업에서 혁신을 촉진한다. 이 인증은 규정 준수와 소비자 신뢰 사이의 중요한 격차를 해소한다”고 덧붙였다.

NSF 인증 가이드라인 538을 기반으로 하는 인증 프로세스에는 MOAH 함량이 100ppm 미만인지 확인하는 종합적인 제품 테스트와 미네랄 오일, 파라핀, 나프텐,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또는 왁스가 의도적으로 첨가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또한 제조 시설의 오염 최소화 절차를 확인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비식품 화합물의 경우 NSF 등록 또는 ISO 21469 인증이 전제 조건이며, 식품 장비 재료는 NSF/ANSI 51 인증을 받아야 한다.

식품 제조업체의 경우 MOAH-Free 인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높이고 규정 준수를 개선하며 생산 오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이 인증은 식품 가공 장비에 사용되는 재료가 식품에 유해한 MOAH 화합물을 유입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보증한다.

비식품 화합물 및 식품 장비 재료 제조업체는 특히 안전 규제가 엄격한 지역에서 시장 접근성이 높아지는 이점을 누릴 수 있다. 또한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안전을 중시하는 생산업체로서 브랜드 평판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인증은 글로벌 지속 가능성 트렌드에 부합하며 진화하는 규제 표준을 선제적으로 준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무엘은 “유럽 규제 당국이 이미 식품에 대한 엄격한 MOAH 제한을 시행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인증은 제조업체가 안전에 대한 노력을 입증할 수 있는 사전 예방적 솔루션을 제공한다”며 “식품 업계는 최고 수준의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재료를 점점 더 요구하고 있으며, NSF의 MOAH-Free 인증은 제품이 이러한 요건을 충족한다는 독립적인 검증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번 발표는 NSF가 최근 발표한 NSF 인증 가이드라인 537: 비식품 화합물 및 식품 장비 재료에 대한 PFAS-Free 제품 발표에 따른 것이다. PFAS-Free 인증 프로그램은 심각한 건강 위험과 연관된 ‘영구 화학물질’에 대한 전 세계적인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MOAH-Free 인증 프로그램은 즉시 이용할 수 있다. 인증에 관심이 있는 제조업체는 nsf.org를 방문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NSF 소개

NSF는 80년 이상 공중 보건 표준을 개발하고 식품, 영양, 물, 생명과학 및 소비재 산업에 세계적 수준의 테스트, 검사, 인증, 자문 서비스 및 디지털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인류와 지구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전념해 온 독립적인 글로벌 서비스 기관이다. NSF는 110개국 4만 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식품 안전, 수질 및 의료기기 안전에 관한 세계보건기구(WHO)의 협력 센터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